두개골의 운동성 장애
우리 몸에서는 여러가지 움직임(rhythm)이 일어나고 있다.
맥박이 뛰는 심장박동의 움직임과
호흡의 움직임
그리고 내부장기의 움직임과
두개천골의 움직임이 있다......
1분에 심장박동의 움직임은 80회정도,
호흡의 움직임이 14~20회,
내부장기는 6~8회정도이고
두개천골의 움직임은 8~10회정도이다.
여기서 얘기하려는 것은 두개천골의 움직임이다.
이 움직임은 아주 미세하고 그 범위도 짧게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이 태어나면서 시작되는 생리적 움직임이요, 선천적인 움직임이다. 두개천골의 활발한 활동에 따라 몸전체가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움직임인 것이다. 이것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이처럼 고유한 두개천골의 움직임, 다시말해 정상적인 고유의 움직임이 방해를 받을 수가 있는 데 이를 제한(restriction)이라 한다. 제한을 받게 되면 정상적인 생리적 움직임이 손상을 받게 되고 정상적 움직임이 아닌 뒤틀린 형태의 움직임을 띠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한적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제한이 사라지는 것을 우리는 이완(release)된다고 한다. 이완의 상태에서 몸은 긍정적 호전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긴장된 상태나 스트레스 등에 노출되지 않는게 중요하며 이런 상태에서 신속히 벗어날 필요성이 있다.
두개골이 운동성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다양한 종류의 질환들이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 뇌활동으로부터 생산되는 노폐물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한 자극은 뇌의 기능을 저하시켜버린다.
결과적으로 인체는 저항력이 떨어지고 여러질한에 쉽게 노출되어버린다.
두개골의 운동성 장애현상은 기본적으로 2개의 유형이 있다.
첫째, 두개골 운동성 장애가 두개골이 아닌 다른 외부에서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런 2차적 두개골 운동성장애현상은 근육골격 계통의 문제, 두통, 편두통, 호흡기 질환의 문제 등으로 나타나게 마련이다.
둘째로 이러한 문제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두개골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이거야말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는데 뇌성마비, 자폐증. 학습장애현상, 정신질환, 간질, 자율신경장애, 부산하고 산만한 행동, TMJ, 사시, 만성두통, 내분비계문제, 외상성 장애증후군,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반사회적 행동같은 질환을 유발하는 것이다.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은 신생아가 갑자기 이유없이 사망하는 영아돌연사증후군은 두개골 운동성 장애현상이 아닐까 하는 강한 의구심을 가지게 한다.
치아를 심하게 가는 어린이나 성인에게도 두개골 장애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이런 문제들은 결국 치아가 마모되면서 턱관절 문제를 유발시키게 되며 따라서 여러 가지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개골 안면골격이 비틀어지면서 발생하는 얼굴의 비대칭성,
한쪽 또는 양쪽 눈이 내려가는 현상,
턱이 한쪽 방향으로 틀어지는 현상,
턱관절에서 삐거덕거리는 소리가 나는 현상,
얼굴이 붓는 현상,
혈관성 두통,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현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두개천골의 움직임에 대한 의미는 크게 두가지로 나타나는데 시술자 다시말해 치유사는 이러한 움직임을 신뢰하고 그것을 감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나는 굴곡(flexion)이다.
굴곡은 머리가 횡으로 넓어지며 전후방의 길이는 짧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굴곡의 과정에서 몸은 외측으로 회전하며 넓어지게 된다.
다른 하나는 신전(extension)이다.
이것은 머리가 횡으로 좁아지며 전후방으로 길어지는 현상이다 그러니까 굴곡과 반대의 느낌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굴곡 이후에는 신전이 되고 신전 이후에는 다시 굴곡이 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 과정의 중간 중간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완이 되는 상태로
우리는 이를 흔히 중립지역(neutral zone)이라고 한다.
굴곡과 신전의 현상은 우리 몸의 여러부위에서 나타난다. 머리에서 뿐만 아니라, 발과 발목, 가슴과 골반, 허벅지, 목과 팔 그리고 인체의 다른 여러부위에서도 느낄 수가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은 스스로 키울 수 밖에 없는데 가장 먼저 시술자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촉진에 달려있다.
만약 그대가 환자라면 편안한 상태로 마음을 가져야하며 CST를 무조건 믿고 따라야 한다. 시술자라면 환자의 몸과 마음이 가장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하라. 환자가 편안하지않으면 시술자의 감지능력이 크게 제한 받게 될 것이며, 시술자가 긴장하거나 편안하지 않으면 감지하는 것 자체가 어렵게 될 것이다.
시술자의 손을 환자의 몸에 가볍게 , 아주 가볍게, 계란을 지그시 보듬은 듯한 조심성으로 부드럽게 놓으라. 굴곡과 신전의 느낌을 이끌고 마음속으로 암시를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두개골 운동성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아이가 태어날 때 발생하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산부인과 의사가 좁은 산도(産道)를 통해 아이들을 분만할 때
신생아의 머리를 잡고 뒤틀거나 밀고 끌어당기는 과정에서
두개골에 압박이 가해지며 신생아의 상부 목과 척추 사이에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두개골 운동성장애현상이 전반적으로 유발되게 되는 것이다.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넘어져 두개골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다.
본인 스스로 기억하지도 못하는 어릴적 충격 장애는 인생전반에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어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반드시 해소시켜야한다.
어린아이들에게 자전거를 가르친다거나 활동적인 운동을 시킬 때에 머리 충격을 막아주는 보호 헬맷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어린 유아들의 허리를 잡고 예쁘다고 흔드는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가 유발된다.
머리에 많은 충격이 가해져 여러증상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골반관절문제, 한쪽 다리가 짧아지는 단족현상, 근막긴장현상 등의 문제들로 인해 유발될 수 도 있다.
CST는 놀라운 치료효과를 가져다 준다. 무엇보다 믿음을 통해 환자와 시술자간 커뮤니케이션이 전제된다. 커뮤니케이션의 진행은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까닭모를, 손을 쓸 수 없는 질병들을 치유하는데 놀라운 효과를 가져다 주리라 믿는다.
걷지 못하는 사람이 걷게 되고, 6개월된 단단한 혹이 몇차례의 시술로 사라지며, 정신이 맑아지고, 혈압이 정상이되며, 짧아진 다리가 한순간에 정상이 되는 놀라운 발견은 더 이상 기적이 아니라 우리들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생한 현실이다.
CST는 거의 모든 질병이나 불균형적 몸의 컨디션에 효과적이다.
이것은 직접 쳬험하지 못한 사람으로선 믿지 못할 테크닉이다.
이제 마음을 가다듬고 진지하게 CST의 세계로 들어가 놀라움을
느껴보기 바란다.
- 참고도서: 김선애 지음-두개천골요법,에너지전송, 번역-뇌의 탄생, 인체와의 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