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통통증후군(3)

1.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근막 통증후군

 

증상과 통증양상


둔부의 통증은 보행시나,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혹은 운전할 때 악화된다.

밤에 둔부의 통증이 나타난다.

항상 둔부에 국소적인 통증이 남아있다.

관련통은 미골통(coccygodynia)처럼 느껴진다.

좌골신경통 형태의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다.

대둔근의 Trigger Point는 앞으로 구부린 자세에서 몸을 일으킬 때 활성화되며 싱크대에 기대어 몸을 일으키거나, 앞으로 구부린 자세로 의자에서 일어서려 할 때와 같은 동작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


검사소견


Trigger Point 검사는 환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환측을 위로 하여 옆으로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실시한다.

촉진상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부위 뿐만 아니라 천골부착부(sacral attachments) 내측 및 말단부위 주변에서도 Trigger Point를 발견할 수 있다. 둔부의 는 근육이나 taut band에서 결절(knots)로 촉지되거나 jump sign에 의해서만 감별된다. Jump sign은 이 부위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통증이 있는 Trigger Point를 촉진하면 환자는 재빨리 피하려 한다.

대둔근의 근력검사는 무릎을 90。 로 구부리고 엎드린 자세에서 대퇴를 저항의 반대방향으로 과신전시켜 봄으로써 할 수 있다.

Trigger Point는 중둔근 측면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요통 환자에서는 대개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뿐만 아니라 대, 중, 소둔근, 부극근부위 및 슬굴곡근을 침범한 Trigger Point가 함께 발생한다.

대퇴직근, 장요근과 같은 길항근도 Trigger Point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를 요한다.

감별진단


좌골 점액낭염

미골통

요추 추간판 탈출증

후둔통(posterior buttock pain)으로 표현되는 고관절염

물리치료 및 수기치료


전기적인 자극과 온습포같은 물리치료나 맛사지같은 수기치료법을 사용한다.

Vapocoolant spray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능동적, 수동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고 또한 근육을 유연하게 한다. 능동적인 운동은 신전-분무치료기법의 한 부분이다. 근육을 신전시키기 전에 유연하게 하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축-이완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둔근의 신전과 분무기법 : 환자를 아픈 쪽이 위로 향하게 옆으로 눕히고 무릎을 복부쪽으로 오게 하여 엉덩이를 굴곡시킨 다음 둔부를 더욱 수축시켰다가 풀어주면서 그 부위의 근육을 부드럽게 해주는 이완기법을 사용한다. 수축시킬 때는 환자를 똑바로 눕히고 숨을 들이 쉬게 하고 이완시킬 때는 수축을 풀면서 숨을 내쉬게 한다. 의사는 손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환자에게도 근육의 이완이 운동의 가장 중요한 요점임을 설명해 주어야 한다. 근육의 신전-분무요법을 실시하기 전에 전기적인 자극, 근육을 유연하게 하는 것과 온습포를 하는 것이 좋다.

요부를 위한 운동이나 가정요법으로는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구부려서 대둔근을 신전시켜 주는 운동이 있다. 그런 다음 적절하게 이완해 주는데, 몸을 세울 때 숨을 들이 쉬고 앞으로 구부릴 때는 숨을 내쉰다. 동작은 항상 천천히 부드럽게 몇 번 반복한다.


운동 및 가정요법


처음에는 의사의 감독하에서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운동은 고관절을 구부리고 무릎을 가슴에 닿게 하여 대둔근을 신전시키는데, 이는 의사와 환자가 서로 도와서 수동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환자는 신전운동 뿐만 아니라 능동운동을 포함한 가정운동요법을 해야 한다.

통증이 없어지고 운동범위가 최대한으로 회복되면 점차 근력강화훈련과 지구력강화훈련을 실시한다.

운동의 시작과 끝에는 신전과 이완운동을 실시하며, 운동프로그램에는 근육의 이완, 유연, 신전 및 근력강화운동을 포함한다.


교정 및 예방법


장시간동안 균형이 맞지 않게 앉아있는 자세는 둔부근육의 Trigger Point를 유발한다. 통증을 일으키는 Trigger Point가 있을 경우 체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도너츠형 베개(doughnut-like pillow)가 필요하다. 앉는 자세가 나쁘면 잠재성 Trigger Point를 악화시킨다.

잘못 만들어진 방석의 사용은 피한다. 단추와 같은 돌출물이 있는 방석은 뒷주머니에 지갑이나 다른 물건을 넣고 있는 것과 같이 지속인자로 작용한다.

야간의 통증은 대둔근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양 대퇴사이에 베개를 넣고 환측을 위로 향하게 하여 옆으로 누워 자면 도움이 된다.

두 다리의 길이에 차이가 있으면 교정한다.

평발 등 발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적절한 교정물로 고쳐야한다.

 


2. 측두근(Temporalis Muscle)-근막통증후군

증상과 통증양상


측두부위로 넓게 통증이 나타나며, 눈썹 부위와 눈 뒤쪽 그리고 윗 니 일부나 전체에 통증이 나타난다.

윗 니 일부 혹은 전체가 온도변화에 과민해 진다.

입을 벌리는데 5~10mm 정도의 가벼운 제한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래 턱의 움직임에 의해서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검사소견


근막통증증후군이나 두개하악장애 환자는 대개 교근이나 외측 익돌근이 일차적인 원인이 되며, 측두근은 2차 또는 3차적인 원인이 되는데, 측두근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전체 환자의 1/3~2/3 정도이다.

교근에는 이상이 없고, 측두근에만 이상이 있는 경우, three knuckle test에서 두 손가락 반 정도 입이 벌어지는 경한 양성반응이 나타난다.

근위축은 나타나지 않는다.

입을 완전히 다물면 근육이 수축한 상태가 되므로 Trigger Point는 입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촉진으로 확인한다.


감별진단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다발성 근염

giant cell 동맥염


물리치료 및 수기치료


Vapocoolant spray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능동적, 수동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고 또한 근육을 유연하게 한다. 능동적인 운동은 신전-분무치료기법의 한 부분이다. 근육을 신전시키기 전에 유연하게 하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축-이완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측두근에 대한 신전과 분무는 환자를 바로 눕히거나, 등받이가 높지 않은 의자에 앉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시행한다. 앉아서 시행하는 경우에는 머리를 뒤로 젖혀서 분무액이 눈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분무는 하악골 근돌기로부터 위쪽으로 하고 방사상으로 시행한다.

신전과 분무기법을 시행한 다음 온습포를 약 5분간 시행하는데 이러한 치료를 수회 반복한다.


교정 및 예방법


부정교합을 교정한다.

이를 갈거나 이를 꽉 다무는 동작을 피한다.

연필을 씹는 습관을 고친다.

껌을 오래 씹지 않도록 한다.

호두나 얼음과 같이 단단한 음식물을 씹지 않는다.

입을 갑자기 크게 벌리거나 오랜 동안 입을 벌린 상태로 있지 않도록 한다.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킨다.

하지길이차이나 골반크기차이가 있을 경우와 같은 몸의 불균형을 교정한다.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동작과 같은 나쁜 자세를 교정한다.

스카프 등으로 측두근 부위를 따뜻하게 해준다.

 

 


3. 교근(Masseter Muscle)-근막통증후군

증상과 통증양상


환자는 통증과 더불어 입을 벌리기 힘들게 된다.

심층 Trigger Point는 편측성 이명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난청은 나타나지 않는다.

천층 Trigger Point는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누루면 눈썹, 상악 하악의 앞쪽, 측두하악관절 그리고 상하 어금니로 통증을 방산시킨다.

심층 Trigger Point는 귀 안쪽과 측두하악관절 부위로 관련통을 발생시킨다.

음식을 씹을 때 불편하며 쉽게 피로해 진다.

검사소견


Trigger Point는 입을 벌리게 한 후 촉진하면 쉽게 찾아진다.

환자는 입을 완전히 벌리지 못하며, 정상에 비해 2/3정도만 벌릴 수 있게 된다.

손가락을 구부려 2-4번 손가락을 세워 입으로 넣을 때, 세 개의 손가락이 모두 들어가지 못한다.(three knuckle test)

천층 Trigger Point는 상부와 하부의 접합부 주위에서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 근육의 팽대부에 나타나는데 이때는 손가락을 입속에 대어 지지한 후, 뺨 쪽에서 눌러 찾으면 된다.

심층 Trigger Point는 귀의 앞쪽에 있는 하악지 전방에 있다.

교근의 Trigger Point는 협동근인 측두근, 내측 익돌근과 반대쪽 교근에 의하여 2차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교근의 Trigger Point는 흉쇄유돌근의 흉골부 Trigger Point에 의하여 위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교근의 길항근인 이복근과 외측 익돌근 하부의 Trigger Point는 교근의 Trigger Point를 활성화시킨다.


감별진단


측두하악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측두하악관절의 류마티스 관절염

중이성 이명

메니에르 증후군


물리치료 및 수기치료


Vapocoolant spray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능동적, 수동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고 또한 근육을 유연하게 한다. 능동적인 운동은 신전-분무치료기법의 한 부분이다. 근육을 신전시키기 전에 유연하게 하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축-이완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교근에 대한 신전과 분무기법은 입을 가능한 최대로 벌린 후 실시한다. 이때 입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치아사이에 물건을 넣거나 환자 스스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아래 턱을 내리도록 하고 의사는 손으로 환자 이마를 고정시킨다.


교정 및 예방법


지나치게 오랜 시간 씹는 것을 피한다.

치과치료와 같이 장시간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하지 말아야 한다.

입으로 숨쉬는 것을 피하고, 코로 숨을 쉬도록 한다.

사탕이나 호두같이 너무 단단한 음식물을 씹지 않도록 한다.

치아의 부정교합을 교정한다.

이갈이 습관을 고친다.

정신적인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이를 악무는 동작을 피한다.

하지길이차이나 골반크기차이가 있을 경우와 같은 몸의 불균형을 교정한다.

 

 


4. 내측 익돌근(Medial Pterygoid Muscle)-근막통증후군

증상과 통증양상


통증은 입안과 인두부, 측두하악관절 아래와 내측 그리고 귀속으로 강하게 방산된다.

교근보다는 약하나 입을 벌리는데 제한이 온다.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렵다.

귀속에 무엇이 들어 있어 꽉 막힌 듯한 느낌이 들게된다.


검사소견


Trigger Point는 입을 벌리게 한 후 손가락으로 촉진하는데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손가락을 하악골간의 뒷면에서 하악골쪽으로 눌러서 Trigger Point를 찾는 방법이고, 둘째는 두 번째 손가락을 입안으로 넣어서 하악골의 내면을 누르면서 엄지를 뺨쪽으로 대어 확인하는 방법이다.

입을 완전히 벌릴 수 없다.


물리치료 및 수기치료


Vapocoolant spray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능동적, 수동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고 또한 근육을 유연하게 한다. 능동적인 운동은 신전-분무치료기법의 한 부분이다. 근육을 신전시키기 전에 유연하게 하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축-이완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근육의 신전-분무요법을 실시하기 전에 전기적인 자극, 근육을 유연하게 하는 것과 온습포를 하는 것이 좋다.

내측 익돌근의 신전과 분무기법은 환자를 바로 눕히고 입을 벌리면서, 턱을 약간 앞으로 내민 자세에서 시행한다. 이때 분무는 목에서 측두하악관절을 향해 위, 아래로 분무한다. 분무시에는 눈에 분무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온습포나 초음파치료와 같은 물리치료를 한다.


교정 및 예방법


치아의 부정교합을 교정한다.

이갈이 습관을 고친다.

하지길이 차이나 골반크기 차이, 영양결핍 등과 같은 지속인자를 제거한다.

정신적인 긴장, 불안과 우울 등을 제거한다.

단순 헤르페스 감염과 같은 만성 감염을 치료한다

 

 

 

5. 승모근(Trapezius Muscle)-근막통증후군

증상과 통증양상


승모근은 인체에서 가장 일반적인 Trigger point의 잠복처로서 무증상인 사람도 쉽게 발견된다.

상부승모근의 Trigger point는 경부통증과 함께 귀, 안면, 전두부위에 관련통을 나타낸다.

두통은 측두부위에서 현저하며 상지부위에 입모현상이 나타나고 어지러움증과 현기증이 나타난다.

중부 승모근의 Trigger point는 상완신경통과 삼각하점액낭염을 야기한다.

하부 승모근의 Trigger point는 양배부, 상경부, 견갑골 내연, 견봉에 관련통을 나타낸다.

검사소견


Trigger point는 국소적인 압통이 있고, 근육의 상부 2/3에 대부분 위치하고 있다.

경추의 가동범위에 제한을 가져와 경추의 회전, 굴곡 및 어깨를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난다.

팔을 들어올리고 외전시킬 때 근육이 단축되고 통증이 있어 상지의 거상과 외전이 제한된다.

Trigger point에 압력을 가하면 관련통이 나타난다.

감별진단


경추 추간판 탈출증

두개하악장애

승모근 염좌


물리치료 및 수기치료


전기적인 자극과 온습포같은 물리치료나 맛사지같은 수기치료법을 사용한다.

Vapocoolant spray나 얼음찜질을 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능동적, 수동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고 또한 근육을 유연하게 한다. 능동적인 운동은 신전-분무치료기법의 한 부분이다. 근육을 신전시키기 전에 유연하게 하고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축-이완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신전과 분무요법 : 근육을 반대방향에서 잡아 당겨 신전한다. 신전하려고 하는 상부 승모근 섬유의 반대방향으로 머리를 가볍게 숙인다. 중, 하부 승모근의 신전은 양팔을 교차되게 선을 등에 닿게한 후 머리와 상배부를 숙인다. 승모근의 Trigger Point는 종종 극하근, 극상근, 견갑거근 등 이웃 근육에 Trigger Point가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운동요법 : 목과 어깨에 대한 운동은 회전, 유연성, 신전, 근력강화 등을 포함한다. 환자가 통증이 없어지고 완전한 동작을 취할 수 있을 때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한다.


교정 및 예방법


비행기나 차안에서 머리를 돌린 상태에서의 대화와 같이 목이 오랜시간 동안 회전된 자세를 피한다.

전화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 귀와 어깨를 이용하여 전화하는 자세를 취하여 Trigger point들을 활성화하거나 야기시킬 수 있는 자세를 피한다.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지 않도록 한다. 짧은 팔을 가진 환자는 승모근의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하여 팔걸이를 적당한 높이로 올려 주어야 한다.

침대에서 책을 읽거나 TV 시청을 피한다. 딱딱한 베개를 피하고 반드시 부드러운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Total 78

List
처음  1  2  3  다음  맨끝